1. 백학선전 줄거리
-류태종은 자식이 없었지만, 치성을 들여 현몽(백학이 품으로 들어오는)후 자식 류백로를 낳음.
-조경도도 자식이 없었지만, 치성을 들여 현몽 후 자식 조은하를 낳음.
-류백로는 10세에 남정운(운파선생)을 찾아가 학문 수양하기로 함. 그때 류태종이 집안의 보물인 '백학선'을 류백로에게 주며 "잘 간직해라'라고 하며 줌
-조은하는 10세에 외가에 갔다오는 길에 류백로를 만나고, 류백로는 조은하를 흠모하게 되어 조은하가 들고 있던 유자를 달라고 하고, 이를 조은하가 줌, 류백로는 조은하에게 '백학선'에 시를 써서 줌. 둘은 언약함.
-3년 시간이 흘러 류백로는 집으로 돌아옴. 아버지는 병부상서 문공의 딸 문소저랑 결혼을 하라고 하지만 '입신 후 할게'하며 거절.
-류백로는 18세에 장원급제함. 고향을 떠나기전 조은하를 만나려 하지만 못만남.
-조은하는 '백학선'의 시를 보고, 백년가약을 깨달음. 최국양이 며느리 삼으려고 했지만, 조은하가 식음전폐후 아버지를 설득함. 조경도는 최국양에게 거절함. 최국양은 복수를 다짐함.
-최국양은 가달의 침입으로 토벌에 나서면서 형주지사에게 조경도 일가를 엄벌하라고 함. 하지만 현령(알고보니 류백로의 외숙)이 조경도 일가를 도망가게 함. 하지만 타지에서 조은하는 부모를 읽고 혼자가 되고, 남장을 하고 고향으로 돌아가려함.
- 조은하는 류태종에게 붙잡히고, 류태종이, 조은하에게 백삭선을 내놓으라고 요구, 조은하 싫다고 하고, 조은하는 감옥에 투옥됨. 몇년후 방면.
- 류태종은 류백로에게 문소저랑 결혼하라고 함. 류백로는 조은하 이야기를 하고 싫다고 함. 류태종은 자신이 가두었던 선비가 조은하임을 깨닫게 됨.
-가달이 다시 침입, 류백로는 최국양에게 찾아 자신이 가달을 토벌하겠다고 함. 최국양은 류백로를 보내지만, 양식을 보내지 않아, 류백로는 대패하고, 적군에데 사로잡힘.
-이 사실을 들은 조은하는 황제에게 자신의 묘술을 보이고, 최국양을 벌하게 한 다음, 가달 정벌에 나섬.
-'백학선'을 이용하여, 묘기를 부려 가달에게 항복을 받고, '백학선'을 내놓으며, 백로에게 자신이 조은하임을 밝힘' 돌아오는 길에 조은하 부모의 산소도 마련함.
-황제의 환대를 받으며, 둘은 결혼함. 팔십에 승천함.
2. 대부분의 고전소설은 주인공을 내세워 ~전, ~록, ~기 등으로 제목을 붙임. 하지만 이 작품은 작품의 소재를 제목으로 사용함. 소서르이 소재를 깊이 있게 인식함. 소설의 소재인 '백학선'의 기능이 서사구조에 작용함.
3. 백학선과 주인공의 행적과의 관계
1) 백로의 출생과 출행, : 백학은 백로의 출생과 관련있음, 백로가 출행할 때 아버지가 백학선을 건네줌.
2) 백로와 조은하의 약속, 결별 : 백로와 은하가 길에서 만날 때 그 신표로 백학선을 활용
3) 백로의 급제, 환로 생활, 은하의 고난생활 : 백로가 약속으로 아버지가 말한 결혼을 거절하고 입신을 위해 공부함. 조은하는 백학선으로 인한 약속때문에 최국양의 며느리가 되는 것을 거절하고, 고난을 당함.
4) 백로와 은하의 만남. 결혼과 가문의 번영. : 백학선으로 가달을 물리침. 백학선으로 자신의 신분을 확인함.
4. 서사 구조.
만남과 헤어짐이 반복되는 구조임.
만남과 헤어짐에 있어서 '백학선'은 중요한 기능을 함.
5. '백학선'의 기능.
1) 인연을 조성하고 복선적인 기능을 함.
-류백로가 길을 떠남에 있어서 백학선은 그렇게 필요한 물건이 아님에도 류태종은 아들에게 줌. 이는 사건이 백학선에 의하여 전개될 것임을 보여줌. 백학선의 중요성을 강하게 드러냄.
-류백로가 조은하에게 백학선을 줌. 백학선을 신표로 미래에 대해 기약을 함. 백학선은 결연의 매개체로서 기능을 함.
-백학선 때문에 사건이 연속적으로 촉발되고 진행됨. 백학선이 다음 사건을 촉발하기 위한 복선물이 됨.
- 앞으로 벌어질 일에 대해 준비하는 단계 사건에 대한 기대와 궁금증을 자아냄.
- 두 사람의 운명을 결정하는 데에 절대적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예견.
2) 백학선은 결연의 매개체, 이별의 고통을 감내할 수 있도록 하는 신표임.
-백학선에 의하여 류백로와 조은하를 중심으로 헤어짐과 만남을 강조하는 구성을 보임.
:행복한 결말을 이끌기 위해 이들의 헤어짐과 그 좌절, 고통을 극복하고, 마침애 만남을 통하여 보상받는 구조를 백학선을 통해 보여줌.
-결속을 다지는 핵심적인 소재.
: 백로- 그리움으로 이별의 고통을 받고, 조은하를 항시 생각함.
: 은하- 백학선의 글귀를 통해, 최국양의 구혼 거절, 가족들이 유리하게 됨, 부모와 사별함.
- 백학선으로 인해 위기 극복, 이들을 신분을 알아 보는 신표
: 백학선에 의한 두 사람의 만남은 긴 이별을 일시에 해소시킴.
-헤어진 상황에서도 백학선이 잠재적으로 기능하여, 그들의 결속을 필연적으로 조성해 냄.
6. 백학선의 상징적 의미
1) 백학선을 상징적 구심점으로 하여 사건이 진행되도록 함.
2) 주인공의 출생, 작명을 통해 백학선이 백로와 은하를 운명적으로 인연을 맺게 하는 요소임.
3) 백로와 은하가 인연을 맺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신표로 작용.
4) 백학선에 의해 맺어진 백로와 은하는 어떠한 시련이나 핍박, 고통이 닥쳐와도 의연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함. (지조, 절개 상징)
5) 헤어짐에서 오는 결핍을 만남에서 보상받는 특성을 갖음. 이 만남을 주선함. 따라서 백학선은 운명적인 만남의 상징체라 할 수 있음.
6) 백학선의 신이한 기능 : 백학선으로 맺어진 두 사람의 인연이 그만큼 강함을 보여줌, 천상의 보물이라는 점을 드러냄.
'2024학년도 수능 완성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오는 길<최명익> 특징 분석 (1) | 2023.09.13 |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줄거리 및 특징 (1) | 2023.09.04 |
김원전 - 줄거리 및 특징분석 (0) | 2023.08.28 |
댓글